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분석/한국환경공단 인턴15

(8)결론 및 고찰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1. 분석 결과 해석 ➀ 쉘터형 버스 정류장 입지 선정 - 도로 재비산먼지 농도가 정상 기준을 초과하게 되면 해당 도로에 노출되는 보행자에게 위험도가 높고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일수록 더 많은 사람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도로 재비산먼지 연평균 농도와 연간 버스 승·하차 인원수를 고려함 - 도로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가 150㎍/㎥을 초과하거나 연간 승·하차 인원수가 기준값(서울 100만, 인천 60만, 대구 25만) 이상인 버스 정류장을 최종 선정하여 시각화 - 서울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등 41개 버스 정류장 - 인천 : 가정(루원시티)역 등 22개 버스 정류장 - 대구 : 2.28기념중앙공원건너1 등 33개 버스 정류장 ➁ 도로 재비산먼지 집중관리 도로구간 분류 - 버스.. 2022. 7. 16.
(7)분석 결과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➀ 쉘터형 버스 정류장 입지선정 및 시각화 ❍ 서울시 -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가 150(㎍/㎥) 초과인 도로 위에 있으면서 연간 승·하차 인원이 100만 명 이상인 41개 버스 정류장 선정 정류장명 ARS-ID 승·하차 인원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8 1,301,927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7 1,096,416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2110 1,307,528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13039 1,116,044 독립문역.한성과학고 13034 1,250,983 ... ... ... ❍ 인천시 -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가 150(㎍/㎥) 초과인 도로 위에 있으면서 연간 승·하차 인원이 60만 명 이상인 22개 버스 정류장 선정 정류장명 ARS-ID 승·하차 인원 가정(루원시티)역 8.. 2022. 7. 16.
(6)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① 쉘터형 버스 정류장 입지 선정 -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가 150(㎍/㎥)를 초과하고 연간 승·하차 인원이 기준값(서울 100만, 인천 60만, 대구 25만) 이상인 버스 정류장 선정 - QGIS를 활용하여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가 150(㎍/㎥) 초과인 도로와 연간 승·하차 인원이 기준값 이상인 버스 정류장과 교차하는 지점 탐색 - 서울 정류장명 ARS-ID 승·하차 인원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7 1,307,528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13039 1,301,927 독립문역.한성과학고 13034 1,250,983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8 1,116,044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2110 1,096,416 ... ... ... - 인천 정류장명 ARS-ID 승·하차 인원 가정.. 2022. 7. 16.
(5)데이터 전처리 및 통계분석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 버스정류장별 승·하차 인원 분석 - 버스 정류장 승·하차 인원 데이터는 지역마다 집계 방식이 다르므로, 1개년도(2020년) 승·하차 인원의 총합으로 계산하여 사용 - 통계분석을 통해 이용 인원이 많은 버스 정류장 선별 - 파란색으로 표시한 ‘표준버스정류장 ID’를 기준으로 총 승·하차 인원 데이터와 버스 정류장의 위·경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셋으로 사용 - 지역 간에 버스 정류장 이용 인원수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지역별 전체 버스 정류장 이용 인원수의 약 30%*에 해당하는 정류장을 선별함. 서울시 연간 이용 인원수 1,000,000(일백만)명 이상인 512개 정류장, 인천시 연간 이용 인원수 600,000(육십만)명 이상인 177개 정류장, 대구시 연간 이용 인원수 250,000(이십오.. 2022. 7. 16.
(4)분석 계획 수립 및 데이터 수집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1. 분석 계획수립 ❍ (분석항목 1) 서울·인천·대구시 승·하차 인원이 많은 버스 정류장 선별 - 서울·인천·대구시 버스정류장별 승·하차 데이터를 정제한 후 EDA와 통계분석을 통해 이용 인원이 많은 버스 정류장을 선별 ❍ (분석항목 2) 버스 정류장 위치 데이터 정비 - 분석항목 1에서 전처리한 버스 정류장 데이터와 서울·인천·대구시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위·경도)를 결합하여 위치 데이터 정비, 통계분석을 통해 선별된 버스 정류장 시각화 ❍ (분석항목 3) 도로 재비산먼지 데이터 분석 - 서울·인천·대구시 도로 재비산먼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통계적 데이터 추출 ※ 대구광역시는 재비산먼지 측정 데이터의 양이 서울과 인천에 비해 적으므로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데이터를 사용 ❍.. 2022. 7. 16.
(3)개요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1. 과제 배경 및 목적 ❍ 과제 배경 - 비산먼지1)는 전국 미세먼지(PM10) 배출량 중 50.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그 중, 도로 재비산으로 인한 미세먼지(PM10) 배출량은 40,319t으로 비산먼지 배출량의 36.7%이며, 전체 미세먼지(PM10) 배출량의 18.4%에 해당함 - 전국 미세먼지 배출원 중 비산먼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전국 비산먼지 배출원 중 도로 재비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함을 알 수 있음 - 도로 재비산먼지2)는 Al, K, Ca 등의 지각물질에 기인하는 자연적인 성분 외에도 배출가스, 타이어, 브레이크 마모 등에 의해 발생하는 Cd, Pb, Cr 등 유해한 인위적 성분을 포함하며, 일반 먼지에 비하면 인체에 더욱 해로움 - 도로 재비산먼지는 입자가 미세.. 2022. 7. 16.
(2)활용 데이터 및 세부 일정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 활용 데이터 순번 수집데이터 데이터 세부 항목 데이터 건수 보유기관 비고 1 재비산먼지 측정 데이터 지역, 도로명,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 서울: 2,621건 인천: 1,707건 대구: 156건 한국환경공단 2 서울시 버스 정류장 승·하차 데이터 버스 정류장 ID, 역명, 승차 인원, 하차 인원 468,820건 서울특별시 일별 합계제공 3 인천시 버스 정류장 승·하차 데이터 버스 정류장 ID, 역명, 승차 인원, 하차 인원 6,156건 인천광역시 1년 합계제공 4 대구시 버스 정류장 승·하차 데이터 버스 정류장 ID, 역명, 승차 인원, 하차 인원 2,116,733건 대구광역시 일별 합계제공 5 도로구간 도로명 주소, 도로 GIS 서울: 67,643건 인천: 19,221건 대구: 24,381건 행정안전.. 2022. 7. 16.
(1)과제 수행 인터뷰_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쉘터형 버스정류장 입지 및 집중관리 도로 선정 1. 인터뷰 개요 ❍ 일시 : 2021.12.29. 10:00~11:00 ❍ 장소 : 한국환경공단 빅데이터관리부 회의실 ❍ 참석자 : 한국환경공단 빅데이터관리부 청년인턴 이상언 2. 주요 내용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재비산먼지 데이터와 버스 승·하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비산먼지 농도가 높고 버스정류장 이용 인원도 많은 구역에 대한 쉘터형 버스 정류장 입지 선정 및 도로 관리 Q1. 재비산먼지 데이터는 환경데이터 포털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신 건가요? A1. 환경데이터 포털에도 올라와 있고 도로 재비산먼지 관리 시스템에도 있습니다. Q2. 재비산먼지 데이터, 버스 정류장 데이터, 도로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병합하였나요? A2. 각 데이터를 전처리한 이후에 도로명을 기준으로 결합하였습니다. Q3.. 2022. 7. 16.
(7)결론 및 고찰_관로 노후화 의심구역 선정을 위한 수질정보 분석 1. 분석 결과 해석 ❍ 변동이 심한 다른 정수장에 비해 충청남도 ‘석성 정수장’에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관로를 통하면서 수질 데이터에 지속적인 변동이 관측됨 - ‘석성 정수장’에서 ‘철’, ‘아연’ 성분이 증가추세를 보임 - ‘석성 정수장’에서부터 관말 수도꼭지까지 연결된 관로를 노후 관로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필요 ❍ ‘아연’ 성분이 검출되는 빈도가 높음 - ‘아연’은 부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강철 제품에 도금할 때 사용되는 성분 중의 하나이며, 관로가 노후되면서 관로의 재질이 수돗물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 2. 고찰 및 한계 ❍ 수집한 데이터(2015~2019년 정수장, 수도꼭지 수질 데이터)에 결측값, 이상값이 많아서 분석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측정된 수.. 2022.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