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분석/한국환경공단 인턴

(3)개요_관로 노후화 의심구역 선정을 위한 수질정보 분석

by 세희홍 2022. 7. 11.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으로부터 관로를 통해 가정 수도꼭지로 공급되는데, 상수도 공급 과정에서 노후 관로로 인해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

     노후 관로로 인해 누수, 적수, 이물질 검출 등의 문제 발생

     수돗물 유충, 녹물 등의 사태로 인해 국민의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 저하

     상수도 보급률이 95%가 넘는데도 불구하고 노후 배관과 수도관에 대한 불신으로 우리나라 수돗물의 음용률은 5%

 

2.     과제 개요

1)    과제 목적

     정수장으로부터 관로를 통해 가정의 수도꼭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노후 관로에서만 측정하는 특정 수질 데이터(, 구리, 아연, 망간, 염소이온 ) 분석하여 지속해서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지역 탐색

     앞서 탐색한 수질오염이 의심되는 구역에 대해 노후 관로 중점관리 지역으로 선정하여 차후 관리를 위한 자료 제공

     깨끗한 공급을 통한 국민 신뢰도 회복 음용률 향상

 

2)    관련 현황조사

- 인천 서구 적수 사고(19.05.30)1)

<인천 서구 적수 사고>
2019 5 30일부터 시작하여 달간 적수가 나왔다. 원인 중에 하나로 노후 관로 시설이 주목되었다.

 

- 붉은 수돗 사태 (19.08)2)

<포항 검붉은 수돗물>
경북 포항시 관내 수돗물의 검붉은 수돗물 오염 사태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가정, 학교 등에서 정수기 필터 변색과 악취 신고 건수가 1 264 이상 발생하였다.
일부 주민들에게서 피부 질환까지 발생하였다.
사건의 원인으로 수도관에 축적된 망간과 철이 필터를 변색시킨 요인으로 추정하였다. 포항시가 추정하는 노후 수도관은 350km, 전체 수도관 2571km 중에 13.6% 차지한다.
 

- 제주시 노후 상수로로 녹물 한폭(21.10)3)

<제주 상수관로 2095km 노후>
지난 10, 서귀포시 동지역 소재 4 학교의 급식소 수도꼭지에 부착된 필터가 누렇게 변색되었다.
전문기관이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돗물에 철과 망간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문제는 도내 상수관로 노후 관로가 40% 육박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에 따르면 도내 상수관로는 지난해 기준 5590km이다. , 설치 21 이상 지난 노후 상수관로가 2095km 전체 37.5% 달하고 있다.

 

- 상수도관 누수로 인한 부족 사태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 유발4)

<노후 관로로 인한 누수>
상수도관의 내구연한은 통상 17~20년이다.
노후 관로 교체 시기를 놓칠 경우, 노후 관로가 터져 누수가 발생한다.
우리나라 수도관의 13% 30 이상의 노후 관로며, 노후관 파열로 인해 연간 6,500 원에 이르는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노후 관로 점검 교체를 위한 위치선정이 필요하다.

 

1)  이한솔, [빨간 수돗물①] 인천에서 터진 적수 사태, 메디컬투데이, 2019.06.25., www.mdtoday.co.kr/news/view/179563631689020

2)  손대성, 포항검붉은 수돗물사태 확인…. 민원 1200 넘어」, 연합뉴스, 2019.08.24., www.yna.co.kr/view/AKR20190823141500053

3)  김현종, 제주 상수관로 2095km 노후….‘녹물 수돗물시한폭탄, 뉴제주일보, 2021.11.08.,a 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172804

4)  한국에리스 마케팅, 「연간 6천억 원 물 낭비, GIS AI 잡아라」, eris Korea, 2020.11.25., www.esrikr.com/blog/gisandaiforpipeassessment/

 

3.     과제 세부 내용

     노후 관로에서 측정하는 특정 수질 데이터 항목 파악

- , 구리, 아연, 망간, 염소이온, 암모니아성 질소

<수도관 노후지역 수도꼭지 검사 항목>
환경부에서는 수도법에 따라 상수도로 공급되는 물에 대해서 법정 수질검사 항목을 선정함. 광역 및 지방 상수도의 수도꼭지에 대해서 매월 5가지 항목(일반 세균, 총대장균군, 대장균 또는 분원성 대장균군, 잔류염소) 대한 검사를 하고 수도관 노후지역 수도꼭지에 대해서는 위의 항목 이외에도 6가지 항목(암모니아성 질소, , 구리, 아연, 망간, 염소이온)을 추가로 시행함

 

     정수장 대비 수도꼭지 수질 데이터의 변동을 경향성 분석을 통해 파악

-   정수장과 수도꼭지에 대한 2015~2019년 월별 수질 데이터(, 구리, 아연, 망간, 염소이온 등)를 정수장 대비 수도꼭지 형태(수도꼭지 수질 데이터 정수장 수질 데이터) 가공

-   가공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질 데이터(, 구리, 아연, 망간, 염소이온) 변동추이(경향성 분석) 확인하고, 노후 관로에 의해 지속해서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지역 탐색

     군집화를 통한 노후 관로 중점관리지역 선정

-   경향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해서 수질오염이 증가하는 지역들을 시각화하고, 군집하여 노후 관로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

 

댓글